Logo SugnwooKim's place
Logo Inverted Logo
  • Posts
  • Books
  • CKA
  • Think
Hero Image
1-2 Certification Detail

해당 강의에서는 시험시간을 3시간이라고 알려주었는데 바로 다음 노트에 2시간으로 변경되었다는 노트가 있다. 시험이 정기적으로 업데이트 되는 것 같으니 시험 보기전에 확인하고 준비한다음 신청하여 놀라지 않도록 조심해야겠다. CKA 시험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에서 확인할 수 있다.

June 6, 2021 Read
Hero Image
1-1 Course Introduction

Udemy CKA 강좌 소개 및 설명 해당 강좌는 CKA 자격증 취득만을 위한 강좌는 아니다. 관련된 몇 가지 주제들을 다룰 것이고 강의는 크게 아래와 같은 섹션으로 구분된다. Core concepts Scheduling Logging Monitoring Application lifecycle management Cluster maintenance Security Storage Networking Installation, Configuration & Validation Troubleshooting

June 5, 2021 Read
Hero Image
0-0 Why Start CKA Study Start

왜 CKA 공부를 시작하는가? 취업을 시작할 때 나의 희망 도매인은 막연히 MSA를 사용하는 무언가였다. 그저 모놀리틱한 프로젝트만 해본 나로서는 단순이 FE와 BE가 분산된 것이 아닌 다양한 역할의 서버들이 분산되어 동작하는 것에 호기심을 느꼈기 때문이다. 면접을 가서는 이러한 점을 적극 어필하였다. 그렇게 카카오 겨울 인턴에서 운좋게도 클라우드 팀을 만나게되었고 최종 합격하여 인턴으로 근무도 하였다. 클라우드팀에서 근무하면서 모든걸 새로 시작하였다. Golang부터 시작해서 Docker, Kubernetes, 여러가지의 오픈소스들 모두 처음 접하는 것들 뿐이였다. 하다보니 제일 매력을 느낀 것은 Kubernetes 였다.

June 4, 2021 Read
Hero Image
Java Lombok 사용에 관하여

Lomnok에 대한 생각 처음 Lombok을 알게 되었을 때 처음 Lombok을 알게 되었을때는 신세계를 마주한 것만 같았다. 학교에서는 Lombok과 같은 개발도구는 가르쳐주지 않았기 때문에 존재조차 몰랐고, 코딩은 한땀 한땀 만들어가는 결과물인줄만 알았다. 매번 IDE의 힘을 빌려 Getter, Setter를 열어주고 생성자의 갯수를 보면서 잘 생성한게 맞는지 확인하던 코드들이 어노테이션 몇 개를 사용함으로써 코드의 양을 어마어마하게 줄었다. 그 이후로는, Lombok을 적극 사용했다. 적극 사용하다못해 과하게 사용을 했다라고 표현하는게 맞다. 데이터를 전달하거나 저장하는 역할을 하는 class들에는 자연스럽게 @Getter, @Setter를 붙이고 시작하였다.

May 17, 2021 Read
Hero Image
모던 자바 인 액션 스터디 시작 계기

읽게 된 계기 학부시절부터 SSAFY를 걸쳐 현재까지 인턴을 했을 때를 제외하고는 Java를 주 언어로 사용중이다. 하지만 Java만을 주구장창 쓰지는 않고 이것저것 다른 언어들에도 관심을 많이 가지기도 하였고 Clean code에 대한 이해도 부족으로 대부분의 시간을 헛으로 보냈다고 생각한다. Java 8 이후의 변경점에 알게된 것도 프로젝트를 하면서가 아닌 취업준비를 하면서 알게되었다. 하지만 필요성을 느껴서 알게된 것이 아니라 면접을 위해 억지로 머릿속에 집어넣다보니 왜 써야하는 지 공감하지 못하였고 내 Java코드는 달라지지 않았다. 물론 나름대로의 변명은 있었다.

May 9, 2021 Read
Hero Image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쳐 구축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쳐 구축 접하게 된 계기 맡은 작은 프로젝트가 종료되고 다른 프로젝트에 합류하기 전 까지 시간이 좀 남게되었다. 이 시간동안 무엇을 하면 좋을까 고민하고 서칭해보다가 Hashicorp Vault라는 오픈소스를 알게되었다. 마침, 사내에서 작업을 할 때 여기저기 퍼져있는 각종 VM과 DB에 대한 접속정보를 얻는것이 불편하고 신뢰할 수 있는 중앙 저장소가 있으면 좋다고 생각하였다. 이부분에 대해서 조언을 구하고자 평소 클라우드 서비스에 관심이 많은 개발자분에게 물어보았는데, 어떤 책의 PDF에서 검색을 하시더니 “음… 이 책 내용에서 한 번 언급되기만 해서 저도 자세한거는 모르겠네요” 라고 하셨다.

April 25, 2021 Read
  • ««
  • «
  • 1
  • 2
  • »
  • »»
Navigation
  • About
  • Skills
  • Experiences
  • Education
Contact me:
  • Email: sungwoo.dev@gmail.com

Toha Theme Logo Toha
© 2021 Copyright.
Powered by Hugo Logo